닫기
NEWS

뉴스 및 언론

김연규 교수 칼럼

상세보기

[서울경제] 자원무기화 넘을 배터리 원료 확보 전략

관리자|2022.04.25|조회 155

원본 기사 링크 : https://www.sedaily.com/NewsView/264TWJWAY7/GG03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유럽·미국시장으로 확대되고 한국·중국·일본에 집중되어 있던 배터리 생산시설 지역이 유럽·미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2021년 11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는 내연기관차 판매를 유럽·북미는 2035년, 나머지 국가들은 2040년까지 중단한다는 선언문을 채택했다. 2030년 전기차의 내연차 추월 (전기차 비중 50%)은 전기차 보급 댓수로는 약 6000만대를 말하는 것으로 2021년 말 전기차 댓수 560만대에 비해 약 10배가 증가하는 것이다.

 

아직 국가나 완성차 업체별로 2040년 ‘100% 전기차 전환’이라는 이상적 목표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11개 자동차 기업들과 33개국 정부가 내연기관차 규제 선언문에 서명했으나 도요타를 비롯해 폭스바겐과 현대차, 르노닛산, 혼다, BMW, 스텔란티스는 서명하지 않았으며 미국과 일본, 중국, 독일, 프랑스도 동참하지 않았다.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2021년 8월 ‘2030년 신규자동차 50%를 전기차로 판매’한다며 내린 행정명령은 전기차의 내연차 추월 시점을 2030년으로 설정하고 2040년 100% 전환 목표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이후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미국 내 40여개의 신규 전기차 배터리 기가팩토리 증설을 발표했다.

 

미국과 중국은 패권경쟁의 시각에서 전기차와 배터리 시장을 지배하는 국가가 세계를 지배할 것이라고 밝히고 배터리공장 증설과 기술개발을 21세기형 ‘군비경쟁’으로 표현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셀 제조를 우선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배터리 업체와 협력해 국내에서 확대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셀 제조는 비교적 빠르게 확대할 수 있으나 공급망 재편의 가장 큰 장애물은 배터리 원자재 확보다.

 

미국 테슬라와 유럽의 전기차 업체들은 배터리 공급망의 최종 단계인 배터리 팩 조립에만 치중하고 배터리 원자재 채굴과 가공, 소재화, 배터리 셀 제조 단계는 한국, 중국, 일본에 90% 이상이 집중되어 있다. 중국은 배터리 원자재의 절반, 소재 가공의 3분의 2를 장악하게 되었으며 중국의 셀 제조 4개사, 한국 3개사, 일본 3개사가 전 세계 90%를 차지한다.

 

중국이 배터리 핵심재료인 니켈·리튬·코발트 등 생산과 가공을 장악한 가운데 배터리 원자재 가격들이 급등하고 인도네시아 정부는 원광 수출 통제를 선언했다. 가격 상승폭이 가장 가파른 배터리 원자재가 리튬이다. 중국은 호주의 리튬원광을 수입해서 수산화리튬으로 가공해 수출해왔으나 호주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중국내부 리튬 생산을 늘리고 있으며 남미 리튬을 추가 확보하기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 생산능력 증대에 나선 미국·유럽과 우리나라 배터리 3사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중국의 자원무기화, 인도네시아·남미의 수출통제와 자원민족주의,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등 복합적인 배터리 공급망 위기로 불확실한 미래를 맞게 되었다. 제2의 반도체 대란이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 재현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에너지분석기업 S&P플래츠는 최근 공급망 리스크로 인한 수정된 전기차 전망을 내놓았다. 새롭고 좀 더 보수적인 전망에 의하면 2030년까지 전기차 점유율은 연간 판매량 3000만대(비중 30%)로 전기차판매량이 내연기관차를 넘어서는 시점도 2040년이다.

 

공급망 위기와 중국의 자원무기화를 극복하고 ‘2040년 100% 전기차 전환’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배터리기업들의 유럽, 미국, 남미지역의 리튬 확보와 수입다변화 노력이 절실하며 정부는 자원외교를 강화해야 한다.

 

김연규 한양대 국제학부 교수